넘치게 채우기
[선형대수] 2-2. 특수한 행렬과 기본 행 연산 본문
특수한 형태의 행렬들과, 기본 행 연산에 대하여 알아보자.
특수한 행렬
대각행렬
n x n 정방행렬에서 대각선을 제외한 모든 항들이 0인 행렬 D를 대각행렬(diagonal matrix)라고 한다.
대각항과 대각합
정방행렬 A의 주대각선 위의 모든 성분들을 대각항이라고 하고, 각 대각항의 합을 대각합(trace)라고 한다.
tr(A) 또는 trace(A)로 표기한다.
행렬의 행과 열 번호가 같은 성분들의 합이다.
정방행렬 A와 B의 크기가 같을 때, 다음의 특성들을 가진다.
- tr(AT) = tr(A)
- tr(cA) = ctr(A)
- tr(A+B) = tr(A) + tr(B)
- tr(A-B) = tr(A) - tr(B)
- tr(AB) = tr(BA)
항등행렬과 영행렬
대각행렬이면서 대각선의 항들이 모두 1인 n x n행렬을 항등행렬(identitiy matrix)또는 단위행렬이라고 한다.
행렬의 크기가 n x n인 항등행렬을 통상 In으로 나타낸다.
AIn = A = InA가 성립한다.
성분이 모두 0인 행렬은 영행렬이라고 한다.(aij = 0)
간단히 O로 나타낸다.
크기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면 Om x n로 표기하기도 한다.
를 영행렬이라고 하고, 행렬 A가 이 영행렬과 크기가 같은 임의의 행렬인 경우,
A + O = O + A = A인 관계가 성립한다.
-A는 행렬 (-aij)로 정의한다. 실수에서 aij - aij = 0이 되듯이, 행렬에서도 A + (-A) = 0인 관계가 성립한다.
행렬 -A는 A의 덧셈에 대한 역원 또는 덧셈의 역(additive inverse)라고 부른다.
전치행렬
행렬 A = [aij]를 m x n 행렬이라고 할 때, bij = aij가 되는 n x m 행렬 B = [bij]를 A의 전치행렬(transpose matrix)이라고 하고 AT라고 나타낸다.
전치행렬은 행렬의 행과 열을 서로 바꾼 행렬이다.
전치행렬에는 다음의 성질들이 성립한다
- (AT)T = A
- (A+-B)T = AT+-BT
- (cA)T = cAT(c는 상수)
- (AB)T = BTAT
대칭행렬과 교대행렬
어떤 정방행렬 n x n 행렬이 자신의 전치행렬과 똑같을 때, 그 행렬을 대칭행렬(symmetric matrix)이라고 한다.
aij = aij가 성립한다.
A = -AT를 만족하는 n x n 행렬을 교대행렬(skewed-symmetric matrix)라고 한다.
aij = -aij가 성립한다.
아래는 대칭행렬 A와 교대행렬 B이다.
삼각행렬
주대각선 아래에 있는 모든 항들이 0인 n x n 행렬 A를 상부삼각행렬(upper triangular matrix)라고 하며,
주대각선 위에 있는 모든 항들이 0인 n x n 행렬 B를 하부삼각행렬(lower triangular matrix)라고 한다.
상부삼각행렬과 하부삼각행렬을 통칭하여 삼각행렬이라고 한다.
행렬의 기본 연산
기본 행 연산
- 어떤 2개의 행을 서로 바꾼다
- 어떤 행에다 0이 아닌 상수를 곱한다
- 어떤 행에다 상수를 곱한 후 다른 행에다 더한다.
(동치인 선형방정식을 구하는 것과 같음을 알 수 있다!)
기본 행 연산을 거친 것을 행 동치(row equivalent)라고 한다.
또한 n x n 항등행렬에서 한 번의 기본 행 연산을 거쳐 만들어지는 n x n 행렬을 기본행렬(elementary matrix)이라고 한다.
행렬의 각 행에서 0이 아닌 가장 처음 나타나는 수를 피벗으로 삼을 수 있다.
행 사다리꼴
기본 행 연산을 거친 후 3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행 사다리꼴(row echelon form, REF)이라고 한다.
- 0으로만 이루어진 행들은 만약 있는 경우 행렬의 아래쪽에 나타낸다.
- 모두가 0은 아닌 행의 가장 왼쪽에 가장 처음 나타나는 0이 아닌 수를 피벗으로 삼는다.
- 모두가 0은 아닌 연이은 두 행이 있으면 아래쪽 행의 피벗은 위쪽 행의 피벗보다 오른쪽에 있다.
행 사다리꼴에다가 다음 조건까지 만족하면 기약 행 사다리꼴(reduced row echelon form, RREF)라고 한다.
- 각 행의 피벗을 포함하는 열(column)에는 피벗 이외의 항들은 모두 0이다.
RREF를 구하기 위한 기본 행 연산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
- 전향단계(forward phase) : 피벗의 아랫부분이 0이 되도록
- 후향단계(backward phase) : 피벗의 윗부분까지 0이 되도록
전향단계와 후향단계를 가우스-조단 소거법이라고 한다.
선형시스템의 가우스-조단 소거법이 맞다.
계수
행렬을 행 사다리꼴로 만들었을 때 행 전체가 0이 아닌 행의 개수는 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, 이 수를 주어진 행렬의 계수(rank)라고 한다. 이는 피벗의 개수와 같다.
연습문제
다음 행렬 A를 행 사다리꼴로 바꾸고, 기약 행 사다리꼴로도 바꾸고, 계수를 구하시오.
'수학 > 선형대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선형대수] 3-2. 역행렬과 선형시스템의 해 (0) | 2024.01.06 |
---|---|
[선형대수] 3-1. 행렬식과 여인수 (0) | 2024.01.05 |
[선형대수] 2-1. 행렬, 행렬의 연산 (0) | 2024.01.03 |
[선형대수] 1-2. 선형방정식의 소거 (0) | 2024.01.02 |
[선형대수] 1-1. 선형대수와 선형시스템 (0) | 2024.01.01 |